청년재단 ‘청년정책·이슈 톺아보기’ 설문조사 결과 발표

[공정언론 창업일보]청년들이 꼽은 ‘청년이슈는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였다. 다음으로 '청년 주거불안' '사회진출 지연 청년들의 사회재진출' 등의 순이었다.  

19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하 재단)은 대학생, 사회진입준비생, 직장인, 신혼부부 등 청년 그룹별로 체감하는 청년정책 및 청년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청년정책·이슈 톺아보기’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재단이 리서치 전문업체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6일부터 14일간 전국 19~39세 성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보고서 전문은 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청년이슈는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41.2%)가 다른 이슈를 크게 앞질렀다. ‘청년 주거 불안’(23.1%), ‘사회진출 지연 청년의 재도전’(21.9%), ‘세대 간 인식 격차 해소’(7.8%)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2023년 가장 중요했던 청년이슈로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25.1%)를 꼽았다. 이어 ‘청년 주거 불안’(24.9%), ‘청년 부채 증가’(23.0%)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은 청년의 연령 및 청년유형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30세 미만과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30~34세와 직장인은 ‘청년 주거 불안’을, 35~39세와 신혼부부는 ‘청년 부채 증가’를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로 선정했다.

가장 중요했던 그룹별 청년이슈를 물어본 결과, 대학생의 경우 ‘진로 불확실성 및 불안감으로 인한 졸업유예’(53.7%)가 압도적이었다. 사회진입준비생은 ‘니트족 증가’(36.6%)가 가장 높았고, 직장인은 ‘저임금 및 고용불안’(36.6%)을, 신혼부부는 ‘전세사기 피해 및 우려 증가’(30.4%)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응답자의 73.1%는 청년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청년의 주요 관심 정책분야(복수응답)는 일자리(69.5%)로 파악됐고, 주거(66.7%),복지(52.7%), 금융(4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분야에 대한 관심도는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에서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 유형은 자립준비청년(33.2%)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돌봄청년(23.5%) △금융취약청년(11.5%) △고립청년(11.0%) △구직단념(NEET 니트)청년(8.5%) △장애청년(7.0%) △경계선지능청년(4.0%) △이주배경청년(0.6%)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청년정책의 방향성(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청년의 자립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49.6%)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만, 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청년 모두의 사회적 진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45.0%)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가장 컸다.

응답자의 43.7%는 청년정책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청년의 중위 연령대(24~29세)와 사회진입준비생 그룹에서 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년정책의 전반적인 구성이 사회진입 지원 위주로 구성돼 있으며, 이후 청년에 대한 지원의 정도가 크지 않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도움이 됐던 청년정책 또는 프로그램에는 ‘청년 구직활동 지원’(34.9%)이 가장 많았고, ‘청년형 장기적금’(12.7%), ‘대중 교통비 지원’(11.7%)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이 평가한 2023년 청년으로서의 삶(10점 만점)은 4~5점(33.4%)이 가장 많았고, 2024년의 삶은 ‘현재와 비슷할 것’(60.3%)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한편,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청년의 범위를 파악한 결과, 청년으로 인식하는 최소 나이는 19.9세로, 최대 나이는 35.8세로 나타났다.

청년이 가장 주관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는 비청년집단(복수응답)은 정부(61.6%)로 나타났으며, 기성세대(57.6%), 기업(44.2%) 순으로 파악됐다.

우리사회가 청년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48.6%)와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51.4%)는 응답이 팽팽했다. 그룹별로 보면 대학생·신혼부부의 경우 청년이 중요하게 고려된다는 비율이 과반을 차지한 반면, 직장인·사회진입준비생 등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청년재단은 “다수의 청년정책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전국 단위의 청년정책 체감효과는 여전히 미미하므로 청년정책의 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청년의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청년정책을 설정하고, 취약계층 청년을 비롯한 모든 청년이 사각지대 없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