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을)

[공정언론 창업일보]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감시를 위해 실시한 긴급조사시 시료채취량 지점당 10L에 불과하는 등 해양 방사능 긴급조사가 엉터리 시료채취로 조사신뢰성 의문이 제기됐다.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인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을)이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해양수산부가 진행하고 있는 해양 방사능 긴급조사의 시료채취 방식에 문제가 있어 후쿠시마 원전오염수로 인한 해수 유입을 감시하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원자력연구원은 세슘 등 감마핵종의 경우 60리터 이상 채취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현재 해양방사능 긴급조사는 10리터를 채수하고 있어 검출하한치를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원식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지난 7월 24일부터 오염수 방류에 대응하여 국내 해역의 안전성에 대한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한 긴급조사 실시하고 있다. 전국 75개 정점(5개권역, 권역당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총 3개(134Cs, 137Cs, 3H)의 핵종을 월3회 조사(매회 권역별 5개 정점씩, 25개 정점)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하지만 "10월 7일 확인된 조사결과값은 세슘134는 리터당 <0.07bq~<0.081bq, 세슘137은 리터당 <0.072bq~<0.090bq, 삼중수소는 리터당 <7.0bq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원자력안전기술원이 매년 측적하는 해양환경방사능 조사결과값인 0.001~0.002bq/L의 70~90배에 이른다는 지적이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보다 높은 수치로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에 따른 일본 해수 유입을 적극적으로 감시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원자력전문기관인 원자력연구원은 환경방사능 조사시 조사핵종에 따라 시료 채취량을 다르게 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세슘 등 감마핵종의 경우 지표수는 20리터, 해수는 60리터 이상 채수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권장 이하 채취 시 검출하한치를 만족할 수 없게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해양 방사능 긴급조사는 지점 당 10리터만 채수하고 있어 조사방식에 의문이 제기된다.

문제는 이러한 조사방법으로는 후쿠시마 원전인근의 해수유입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일본 환경성 발표자료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 6개월 뒤 원전 앞 180km 지점 해역의 세슘 농도가 0.1bq/L수준으로 측정되었다고 한다. 현재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0.09bq/L까지 측정되고 있어 해수 유입, 원전의 방사성물질 유출 등에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국립환경과학원 역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2014년도부터 방사성물질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 2회 하천·호소 90개소(하천 77개소, 호소 13개소)에서 시료 1리터를 채취하여 측정중에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시료 채취량이 터무니없이 부족해 지금까지 세슘 측정이 단 한번도 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정부는 해양 방사능 긴급조사 등 후쿠시마 관련 대응예산으로 내년에만 7,380억 원을 배정했다. 이는 올해보다 40%나 늘어난 액수이다. 그 중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예산은 49.5억 원으로 책정됐다.

우원식의원은 “방사능 긴급조사가 보여주기식 조사에 그쳤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면서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에 적극 대응하고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조사방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