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언론 창업일보]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병원 내 사망률이 지난해 7.7%(잠정치)로 전년도(7.5%)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송파구병)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2018-2022년 급성기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내 사망’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18만 8,003명 중 병원 내 사망은 7.7%인 1만 4,533명으로 나타났다”면서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병원 내 사망률이 2020년 7.6%에서 2021년 7.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7.7%로 다시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병원 내 사망률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울산 9.6%, 경북과 충남 9.2%, 충남 9.2%, 부산과 충북 9.1% 등이고, 상대적으로 낮은 곳은 세종 3.3%, 광주 6.8%, 전북 6.3%, 경기 7.1%, 서울과 제주 7.2% 등이다. 

남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에는 2027년까지 중증응급환자 병원 내 사망률을 5.6%,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10%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면서 “지역 내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 급성 뇌졸중 환자, 급성 중증외상 환자 등 중증응급환자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신속한 이송부터 응급실 진료, 수술 등 적정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역완결적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여,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미개소 경남권역외상센터 조속한 개소 지원 필요 

한편, 격년 주기로 시행하고 있는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율은 2017년 19.9%, 2019년 15.7%로, 2021년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율 산출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현재 연구용역을 시행 중에 있다.

남 의원은 “전국 어디에서나 중증외상환자가 1시간 내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2023년까지 전국에 17개 권역외상센터를 설치할 계획을 추진하여, 현재 16개 권역외상센터가 개소하였으며, 2017년 경상대병원을 선정하였음에도 헬리패드(helipad, 헬기 이착륙장) 설치 문제로 6년째 난항을 겪어온 경남권역외상센터도 조속한 개소 지원을 통해 의료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히고,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율도 지역별 편차가 적잖은데, 지역 여건에 맞는 외상환자 이송지침 마련 등 편차 축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성심장정지에 대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율 미국·일본 등보다 낮아... 10.29이태원참사 계기로 국민 관심 높아, 대국민 응급처치 교육 활성화해야

남 의원은 또 “우리나라의 급성심장정지에 대한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시행율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10.29 이태원참사를 계기로 우리 국민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대국민 응급처치 교육비와 실습용 마네킹 등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급성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율은 2019년 24.7%, 2020년 26.4%, 2021년 28.8%, 2022년 상반기 29.2%로 증가해왔다.

2021년의 경우, 전체 일반인 발견/목격건수는 2만 9,076건이며 이 중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건수는 28.8%인 8,381건이었고, 2022년 상반기의 경우 전체 일반인 발견/목격건수는 1만 5,239건이며 이 중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건수는 29.2%인 4,455건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급성심정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비율을 뜻한다.

질병관리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영국 이외에 국가 단위의 통계를 제공하는 나라가 없어 직접 비교에 한계가 있지만, 일부 파악된 국가의 급성심장정지 조사 결과,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영국 70.0%(2020년), 미국 40.2%(2020년) 등으로 우리나라(2020년 28.8%)보다 훨씬 높았으며, 일본 50.2%(2013~2015년)의 경우도 2배 가까이 높았다. 

우리나라의 일반인 심폐소생술에 따른 생존율 현황에 따르면, 2021년의 경우 시행건수 8,381건 중 생존건수 969건으로 생존율이 11.6%, 2022년 상반기의 경우 시행건수 4,455건 중 생존건수가 504건으로 생존율이 11.3%로 조사됐다.

전체 급성심장정지 발생건수 대비 생존율은 2021년 7.3%, 2022년 상반기 7.3%로 일반인 심폐소생술에 따른 생존율이 각각 4.3%p, 4%p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남 의원은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후유증 없이 회복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발생 후 4분에 불과하며, 이후 급격한 저산소혈증으로 뇌와 장기에 손상이 발생하여 장애를 입거나 사망하게 된다고 한다”면서, “복지부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에서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율을 28.8%에서 2027년 30%까지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지적하고, “주요 선진국들의 급성심장정지 환자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율을 보면 미국 70.0%, 일본 50.2%, 미국 40.4%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 점을 감안,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을 획기적으로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