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복합화에 대한 사업자들의 관심이 높다. 한정된 점포 공간에서 복수의 아이템을 론칭해 수익을 극대화하자는 내심의 표출이다. 끝모르는 경기불황이 그 이유다. 매출은 자꾸 주는데 점포유지비는 고정적인 것이어서 매출확대를 꾀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인 것이다. 한 점포 두 아이템, 이모작 창업, 점포안 점포(shop in shop), 동(同) 점포  다(多) 브랜드 등 나름의 세부적인 종류는 있지만 한 지붕 복수 업종을 영위한다는 데는 차이가 없다. 이러한 업종복합화는 점포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어 매출을 늘리기도 하지만 섣부른 시도는 되레 죽은 점포를 만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아래는 관련 내용이다. 정리= 창업과 사업아이템

 

새 서울역사(驛舍) 2층에는 한식당 ‘다복’과 일본식 우동집 ‘백로’가 나란히 있다. 작년 12월 KTX(고속철도)역사와 동시에 문을 연 ‘다복’은 해장국, 따로국밥 등을, ‘백로’는 김초밥, 어묵우동 등 간단한 일식(日食)을 팔고 있다. 두 식당은 간판은 물론 메뉴·출입구 등이 모두 다르다. 그러나 정작 문을 열고 들어가 보면 하나의 식당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식사공간(Hall)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권오기(權五基) 사장은 “손님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식당 운영 효율화를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이렇게 ‘한 지붕 두 업종’을 하는 업종 복합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장기불황 속에서 매출을 늘리고 업종 선택에 따른 위험을 절반으로 줄이려는 움직임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점포 복합화’를 할 경우 1개 업종만 운영할 때보다 20~30% 정도 매출이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시간대별로 판매 아이템을 달리하는 ‘이모작’식 운영도 갈수록 늘고 있다. 서울 역삼동의 10평 규모 카페 ‘스탠딩’은 낮에는 샌드위치점이지만, 밤에는 맥주전문점으로 변신한다. 스탠딩은 처음부터 서로 다른 두 개의 업종 영업을 염두에 두고 인테리어를 바(Bar) 형태로 꾸몄다. 또 조명을 효과적으로 바꿔 밤낮 분위기를 180도 달리 만든다. 결과는 대박 수준이다. 창업비 1억6000만원 투자에 월 매출 2000만원, 순수익이 800만원에 달한다.

 

‘숍인숍’(점포 안 점포)도 대표적인 복합화 전략이다. 비타민, 다이어트용품 등을 취급하는 한국형 드럭스토어 ‘W-store’ 운영사인 코오롱웰케어㈜는 지난 1일 분당 차병원 앞 대형약국 ‘미래팜’에 ‘W-store’ 2호점인 야탑점을 오픈했다. 100평 규모의 약국 중 ‘W-store’는 22평을 차지한다. 코오롱웰케어㈜측은 “약국 내 제품을 더욱 다양화해,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약국도 숍인숍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방화동 방신시장에서 부위별 치킨전문점 ‘맛대로 치킨’(1인분 8000~1만8000원)을 운영하는 김교인(金敎仁) 사장은 ‘한 점포 두 브랜드’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불황을 극복하고 있다. 9년째 치킨집을 하고 있는 김씨는 작년 조류독감 파동으로 매출이 줄어들자 지난 4월부터 한 마리에 5000원 하는 저가(低價) 브랜드 ‘아몬드 치킨’을 새로 내놓아 매출을 거의 두 배로 끌어올렸다. 김교인 사장은 “아몬드 치킨은 싼값에 치킨을 먹고 싶어하는 소비자를 겨냥한 신제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복합 점포라고 하여 모두 장사가 잘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업종에 메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FC창업코리아 강병오(姜秉五) 대표는 “각각의 아이템 기능을 유지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올려야 복합화 효과를 볼 수 있다”면서 “궁합이 맞는 아이템들의 결합은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오히려 점포 특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자료원 조선일보.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