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한 해 총 근로소득이 강원도의 9.5배에 달하는 등 수도권 근로소득 집중도가 심화되고 있다. 좋은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보니 기업·인프라·구직자·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고, 지방은 소멸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창업일보 = 손우영 기자]

서울시의 한 해 총 근로소득이 강원도의 9.5배에 달하는 등 수도권 근로소득 집중도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보니 기업·인프라·구직자·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고, 지방은 소멸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즉 국토 불균형의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라는 것이다. 

9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신고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와 강원도의 총 근로소득 차이는 9.5배에 달했다.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서울에서 발생한 2020년 총 근로소득(총 급여)은 169조 5천768억원으로 나타났다. 강원의 2020년 귀속 총 근로소득은 17조 8천269억원으로,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7조 240억원), 제주(7조 4천887억원)를 제외하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로 2020년 총 근로소득이 214조 1천91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후 서울(169조 5천768억원), 경남(41조 6천589억원), 부산(41조 5천308억원), 인천(39조 6천838억원) 순으로 총 근로소득이 많았다.

총 근로소득이 가장 적은 곳은 세종(7조 240억원), 제주(7조 4천887억원), 강원(17조 8천269억원)이었고, 이어 울산(18조 5천528억원), 광주(19조 1천588억원), 전북(19조 7천216억원), 전남(19조 9천393억원) 순으로 총 근로소득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수도권의 2020년 총 근로소득은 423조 4천516억원으로 전체의 56.7%를 차지했다. 수도권 집중도는 전년(56.4%)대비 소폭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기업·인프라·구직자·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반대로 수도권은 전쟁 같은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이대로 가면 서울도 맨 마지막에 망할 것이라는 비판조차 나온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지역본사제 추진, 지역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