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불량식품 등 식품위해사건의 구속수가 비율이 1.3%에 그쳐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 YTN화면 갈무리
유통기한 경과, 부정불량식품 등 식품위해사건의 구속수사 비율이 1.3%에 그쳐 지나치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 YTN화면 갈무리

[창업일보 = 김진우 기자]

이물 혼입, 유통기한 경과, 무신고 부정·불량식품 등 식품위해사건 사건의 구속수사하는 경우가 고작 1.3%에 그쳐 "처벌이 너무 솜방망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6일 최혜영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특별사법경찰관)이 소관 법령 위반으로 검찰에 송치한 부정·불량식품 사건은 684건이었는데, 구속 수사한 건은 9건으로 1.3%에 불과했다.

반면 대분분을 차지하는 566건 불구속, 기소유예, 약식기소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사건의  82.8%에 해당한다. 

부정·불량식품 검찰 송치 사건 수사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6년부터 구속은 9건이었고 지난해부터는 한 건도 없었다. 반면, 불구속 63건(9.2%), 기소유예 173건(25.3%), 약식기소 330건(48.3%)으로 범죄혐의가 있음에도 처벌하지 않거나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는 사례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구속, 약식기소 사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리식품에서 위생관리가 의심되는 심각한 이물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속되거나, 판매를 목적으로 유통기한 경과 제품이나 사전 신고를 하지 않은 제품을 판매했음에도 벌금형에 그치는 경우도 있었다. 

최혜영의원은 “검찰의 부정·불량식품 수사 결과를 살펴보니, 식약처 내 특별사법경찰이 현장 단속과 수사를 거쳐 검찰에 사건을 송치하더라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었다. 식품 사범의 재범률 증가와 국민의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면서 "식품의 가격이나 영세한 제조 환경에 관계없이, 모든 식품은 보건당국이 정한 위생 기준에 맞게 제조·판매해야 하고, 이를 어길 시 법에서 정한 처벌이 집행된다는 대원칙이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