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촬영 장소는 역·대합실·지하철 등이 6,459건, 22.7%으로 가장 많았고, 길거리·상점 등이 3,861건(13.6%)으로 뒤를 이었으며 아파트·주택에서도 3,816건(13.4%)이 적발되어 대부분의 범죄가 누구나 빈번하게 출입·이용하는 곳에서 벌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창업일보 = 손우영 기자]

지하철이 불법촬영 범죄의 온상으로 드러났다.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불법촬영 범죄는 2만8,369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불법촬영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지하철이 22.7%로 가장 높았으며 상점과 아파트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불법 촬영 범죄 5천여 건, 최근 5년간 28,369건에 달해
장소로는 지하철(22.7%) 가장 많고, 상점·아파트 등 포함하면 절반에 달해
정부의 ‘디지털 성범죄 종합대책’ 발표 이후에도 범죄 줄지 않아, 취지 무색
불법촬영에 이용될 개연성 있는 변형카메라 한 해 10만 건 수입, 1.4조원 규모
장혜영 의원 “관세청, 변형카메라의 유통이력 관리 등에 적극 나서야


한편 불법촬영에 사용될 개연성이 있는 변형카메라가 수입제품으로 적합성 인증을 받은 경우가 92%에 달하고 매년 수입규모가 10만여 건에 달한다.

장 의원은 “불법촬영으로 인한 범죄가 한 해에만 수천여 건에 달하고 이에 사용되는 변형카메라의 상당부분이 수입품인 만큼 관세청이 유통 이력 관리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작년 한 해 발생한 불법촬영 범죄(카메라등이용촬영)는 5,032건으로, 최근 5년간 발생한 불법촬영 범죄는 2만8,369건에 달했다.

또한, 불법촬영 장소는 역·대합실·지하철 등이 6,459건, 22.7%으로 가장 많았고, 길거리·상점 등이 3,861건(13.6%)으로 뒤를 이었으며 아파트·주택에서도 3,816건(13.4%)이 적발되어 대부분의 범죄가 누구나 빈번하게 출입·이용하는 곳에서 벌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불법촬영에 사용될 개연성이 있는 품목’의 통관현황을 보면, 한 해 10만 건의 카메라가 수입되어 그 규모만 12억달러(한화 1조 4천억원)에 달하고 있었다.

더불어 최근 5년간 수입 건수는 45만여 건이며 금액으로는 78억불(9조 2천억원) 규모다. 또한 변형카메라는 용도와 모양에 관계없이 국립전파연구원의 ‘적합성 인증’을 받으면 자유롭게 유통·수입이 가능한데, 최근 5년간 적합성 인증을 받은 변형카메라 모델 57개 중, 53개(92%)는 수입제품으로 밝혀졌다.

한편, 정부는 과거‘2017 디지털 성범죄 종합대책’을 발표해 변형카메라에 대한 유통이력 정보 시스템 등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를 시행해야 할 관세청은 현재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매년 불법촬영 범죄가 5천여 건 이상 벌어지고, 변형카메라 수입건 수가 10만 여건이 넘는 상황에서도 소관 기관은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