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4개의 정부 유관 인증기관의 인증 수수료 수입은 2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이 정부 유관 인증기관으로부터 중복, 또는 늑장 인증에 따른 부담과 과도한 인증 수수료를 감당하지 못하여 납품과 신제품 개발을 포기하는 등 피해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이들 인증기관이 과도한 수수료에 비해 제 역할을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이 일고 있다. 

[창업일보 = 윤삼근 기자]

중소기업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4개의 정부 유관 인증기관의 인증 수수료 수입은 2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이 정부 유관 인증기관으로부터 중복, 또는 늑장 인증에 따른 부담과 과도한 인증 수수료를 감당하지 못하여 납품과 신제품 개발을 포기하는 등 피해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이들 인증기관이 과도한 수수료에 비해 제 역할을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비싼 인증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고, 느리고 복잡한 제도 절차를 전면 수정해야 하며 확실한 제도개선과 대책마련을 통해 국가 기업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유관 인증기관, 5년간 챙긴 수수료만 2조원 넘겨"
건설생활환경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과도한 인증절차와 수수료로 국내기업 납품 포기 속출"
국내인증 해외선 통하지 않아, 국가기업 경쟁력 저하 우려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이 산업자원통상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4개의 정부 유관 인증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의 최근 5년간인증 수수료 수입은 2조 1,127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보다 9.3% 증가한 4,89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도한 인증 품목, 인증료, 인증기간 등으로 우리 중소기업들이 제품 개발 의욕을 상실하고 있다. 

중복 유사 인증이 많고 제품사양을 조금만 바꿔도 새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인증을 받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돼 기업 경영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 24개 부처가 80개 법정의무 인증과 106개 법정 임의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연간 인증 취득 비용은 2,180만원, 취득 소요 기간은 평균 5.5개월에 이른다. 정부는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러 제도개선을 추진했지만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미국과 유럽국가 등의 인증은 국내에서 통하지 않고, 국내 인증 또한 해외에서 인정받지 못한다. 심지어 국내 인증은 미국과 유럽보다 까다로워 ‘행정편의주의의 산물’이라는 비판마저 일고 있다.

국내 인증제도는 빠르게 변하는 요즘의 기술 또한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한 의료기기업체 임원은 “인공지능(AI) 빅게이터 등 신기술이 들어간 의료기기를 개발했지만 인증 심사 담당자가 기술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 결국 인증을 포기했다.”며 “도리어 인증기관을 학습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수수료로 배불리는 K-인증기관

중소기업의 인증 부담이 늘어나는 반면 인증기관의 재정은 갈수록 오르고 있다. 국내 주요 4개 시험인증기관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기관들의 소유 부동산은 지난 7월말 5,911억원 규모로 2016년 4,195억원 대비 40.9% 증가했다. 임직원 수 또한 같은 기간 18.6%, 583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인증기관의 관계자는 “인증의 전문성을 위해 사옥을 추가 건립 하는 등 기관의 규모가 커진 영향”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창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